첫만남은 이러했다. 굳게 닫힌 눈동자를 억지로 열게 하려 한 사람이 있었다. 그는 자상하고, 너무도 다정하여 꼭 어느 곳에서든 성공을 쟁취할 수 있을 법한 사람이었다. 그런 사람이 하찮고, 민폐로 가득 뭉친 내게 손을 내밀어주었다. 아마 반대였을 지도 모르겠지만, 그래도 나는 그가 무척이나 좋았다. 물론 지금도 마찬가지였다. 허나 그리 따스한 그에게 허점이 있더라면, 누구보다도 크게 떠보였던 눈조차 그이의 곁을 떠났다는 것. 가엾게도, 그 이유 하나만으로 토해낼 수 없는 고통을 품고 있었다. 아무리 다가갔다고 한들, 그것은 아주 잠깐 사소하게 일어났을 뿐이지만 말이다.
오늘은 그의 자화상을 그리기로 했다. 대놓고 그의 집에 멋대로 발을 들였고, 무작정 그에게 들이댔다는 사실을 스스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그는 흔쾌히, 까지는 아니나 공포에 몸부리며 고개를 끄덕였고, 여전히 구원을 바란다는 듯이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 허우적거리는 미운 오리와도 같은 존재, 나는 그러한 그에게 나를 신뢰할 수 있는 재능을 꺼내보이고 싶었다.
그는 나를 저기요, 를 대신하여 ‘형씨’ 라고 호칭을 바꾸어 부르기 시작했다. 이름으로 불러주면 더 좋았거늘, 처음은 어색하니 일단 어느 정도 받아들였다. 아주 장난스레, 더 다가갈 수 있다면 이름으로 불릴 수 있을까. 하고 갖은 망상을 심어보며 오랜 친구라 불리는 몽땅 연필을 손에 쥐어보았다. 기꺼이 말아놓은 4절 도회지를 펼쳐 무릎 위에 올려두었다. 팔레트도 완벽히 세팅, 준비는 언제나 익숙했다. 남의 집임에도, 왜일까. 정겨운 기류가 그와 나를 감싸 돌았다.
“어떤 느낌을 원해요?”
가만히 소파에 앉아 뚱한 얼굴로 저를 바라보는 그의 모습에 웃음이 툭, 튀어나왔다. 그래서인지, 눈살을 찌푸리며 마음대로 하라는 답에 입술을 깨문 채 웃음을 참으려 했을 지도 모른다. 이윽고 그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다시 원래의 표정을 유지했다. 그것은 너무도 느릿하고, 천천히 돌아가는 시계바늘 과도 같았다. 눈을 크게 떠보여야지, 그의 표정 변화를 뚜렷히 볼 수 있었다. 뭐랄까, 소박한 기적이 희망을 끌어들였다. 희망은 불안해하던 그를 멈추었고, 자세를 고정시켰다. 나는 그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누군가가 조종하듯, 마치 꼭두각시가 되어 새하얀 도화지에 선과 선을 잇기 시작했다. 처음으로 찍은 점은 곧이어 곡선으로 넓게 퍼지고, 곡선과 곡선을 이어 자아낸 새로운 형태는 나를 어디론가 이끌어나갔다. 그것이, 그것이 나를 캄캄한 길로 인도하는 것조차 모르던 채.
“아직 멀었어요?”
그는 참으로 다급한 사람이었다. 나는 꽤나 손이 느렸다. 십여 분이 지났음에도 아직 그의 베이지색 스웨터를 본따 그리기에 바빴다. 색조차 입히지도 못했거늘, 그런 말을 꺼내는 사람은 그가 처음이었다. 아아, 아마도 그럴 터다. 그는 숨이 붙어있고, 몸을 움직일 수 있고, 자세를 유지하지 못해 입술을 뻐끔일 수도 있었다. 그는 여전히 나를 바라보는 듯하나, 무릎 위에 얹은 손가락을 꼼지락거렸다. 다리마저 이따금씩 위아래, 나를 놀리듯 바르르 떨고 있었다. 나는 속도를 높였다. 내 나름의 속도로 그를 잡아보려 해도, 그의 초조한 모습은 결국 제 눈엣가시로 남아 돌았다. 아아, 지금 당장이라도 그를.
“조금만 기다려줄래요?”
가만히 있으라는 말조차 소용없었나보다. 보이지 않는다. 그것이 원인일까, 그는 제 말을 듣지 않았다. 되려 그림의 완성을 바라는 듯, 마른 침을 삼키며 식은땀을 흘리기에 바쁜 모습이었다. 아무리 눈살을 찌푸려 그를 유심히 살피고, 보이는 모습 그대로 도화지에 옮겨보아도 원하는 그림은 나오지 않았다. 슬럼프가 아니었다. 아마 징크스일 거다. 벗어나오지 못하는 징크스, 그저 그리는 이유 하나만으로 나는 도화지에 그이를 맡겼고, 제 손에서 희망을 바란 채 기적을 그렸다. 그의 모습 그대로 자화상을 그려보았다. 허나 미미하게 튀어나온 스웨터의 무늬, 삐죽 튀어나온 선, 반듯하지 못한 모양은 괴기스럽게 나를 골렸다. 어째 살아있는 사람을 그리는 거야? 본래 이러지 않았잖아. 비웃음치며, 제 귀에 속삭였다.
오로지 시체를 골라 그려오던 주제에, 뒤늦게 살아있는 사람을 그리고 있는 거야?
속을 갉아먹은 악독한 소리, 스스로 자아내었던 소리. 듣고 싶지 않았다. ……나에게는 형형색색으로 어우러진 팔레트, 구석구석에 짜여진 물감이 있었다. 왜일까, 스케치는 끝나지 않았어. 붓을 들었다. 각각에 놓인 물감을 한 자리에 섞었다. 물은 적시지 않았다. 애시당초 내게 물통 따위는 필요 없었다. 스케치는 완성을 져버린 채, 연필을 놓았다. 얼핏 보면 그와 닮아빠진, 살아있기에 아름답지 못했던 자화상. 얼룩덜룩, 먹구름과도 비스무리한 색깔의 붓을 들어 올렸다. 그리고 연필로 더러워진 도화지 위에 색을 채웠다. 얼굴은 회색, 어깨는 그레이, 상체는 천장 위로 떠도는 쥐색, 하체는 시멘트색, 색을 입혔다. 안타깝게도 신발은 그리지 않았다. 그리기도 전에 감정은 이미 끝을 도달했다. 오로지 완성을 바라는 그의 모습을 감정에 담고도 남았기에. 그러하기에, 나는 그의 바람대로. 염원을 이룬 것처럼, 새까맣게 물든 도화지를 그의 앞에 보여주었다.
“…기다리게 해서 미안해요.”
“난 원래 손이 느리거든.”
당신은 꽤나 급한 사람이네요. 넘쳐 흐르던 한마디를 끊어냈다. 살아있는 사람이라 그런가보다. 스스로 납득하고 말았으니까. 그는 완성된 그림을 바라보았다. 그리고, 옅은 웃음을 지어보였다.
“꽤 괜찮지 않아요?”
형체를 알아볼 수도 없이 검게 물들어진 자화상, 그것이 자신의 자화상이라는 사실조차 실감하지 못한 채. 이게 당신의 모습이에요, 초조함에 썩힌 당신의 모습. 그저 기뻐하기 그지없는 그의 앞에, 나는 환히 웃을 뿐이었다.